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궁선근증의 증상, 원인, 진단 및 치료

by 여성건강 제이미 2024. 7. 1.

자궁선근증의 증상 및 원인

자궁은 두꺼워졌다가 얇아지면서 생리로 나오게 되는 자궁내막과 자궁 겉을 둘러싸고 있는 자궁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자궁내막 같은 경우 임신을 하게 되면 아기집이 착상하게 되는 위치로 아기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게 됩니다. 자궁선근증은 이런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에 자라게 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자궁이 커지고 부드러워지며 생리통이 심해지고 생리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선근증이 있는 여성은 종종 장기간의 월경 출혈, 심한 월경통(월경통), 골반 통증을 경험하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될 수 있습니다. 다른 증상으로는 성교 중 통증과 생리 사이의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선근증의 정확한 원인은 완전히 명확하지 않지만 여러 요인이 발병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잠재적인 원인은 출산이나 제왕절개와 같은 시술로 인한 자궁 외상으로 인해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으로 침입하여 성장하는 것입니다. 호르몬 불균형, 특히 과도한 에스트로겐도 자궁 외부의 자궁내막 조직 성장을 자극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만성적인 자궁 염증이 자궁선근증의 발병을 촉진한다고 하기도 합니다.

 

게다가 자궁선근증은 때때로 자궁근종이나 자궁내막증과 같은 다른 자궁 질환과 공존할 수 있어 진단과 치료가 더욱 복잡해집니다. 지속적인 골반 통증이나 비정상 출혈을 경험하는 여성은 근본 원인과 적절한 관리를 위해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자궁선근증 진단 방법

자궁선근증의 증상은 자궁근종이나 자궁내막증과 같은 다른 부인과 질환의 증상과 유사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질초음파를 통한 진단이 가장 중요한데, 초음파상에서 다른 쪽에 비해 한쪽이 더 두꺼워져 있는 자궁과 둥그렇게 변한 모양, 샘조직이 자궁 근층 사이사이에 보이는 형태 등을 통해 자궁선근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MRI(자기공명영상)는 좀 더 명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적인 측면에서 초음파를 통해 진단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진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자궁선근증을 자궁근종과 감별하는 것입니다. 초음파 상에서는 자궁선근증과 자궁근종이 비슷하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초음파 경험이 많은 전문의를 통해서 정확한 감별진단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결국 확정적인 진단은 자궁적출 등의 수술을 했을 때 병리조직결과를 확인하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경우에 수술을 시행하지는 않기 때문에 현재는 주로 초음파를 진단 도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술로 얻은 조직을 병리과에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자궁 근육층 내에 샘조직이 존재하는 패턴을 보이게 되면 선근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선근증은 암이 아닌 양성 종양으로 병리학적인 검사를 통해 자궁육종과 같은 암과 감별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자궁선근증의 치료 방법

선근증 치료는 증상의 심한 정도, 여성이 향후 아이를 가질 계획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월경통과 불편함을 완화하기 위해 이부프로펜과 같은 진통소염제 등의 보존적 치료를 권장할 수 있습니다. 피임약이나 미레나와 같은 자궁 내 장치(IUD)와 같은 호르몬 요법은 월경 주기를 조절하고 선근증과 관련된 과다 출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더 심각한 경우나 보존적 치료로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자궁 내막을 제거하거나 파괴하는 시술인 자궁내막 절제술은 월경 출혈과 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절차는 일반적으로 가임력을 보존하려는 여성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증상이 심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여성이 더 이상 아이를 원하지 않는다면 자궁선근증의 최종 치료법으로 자궁적출술(자궁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여성이 개인의 상황과 임신 계획에 따라 각 접근 방식의 장점과 단점을 평가하면서 어떤 치료를 선택할지 주치의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장기적인 합병증을 관리하려면 주기적인 진료 및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